top of page
Search

우울의 여러 얼굴

한의원이라는 곳은 사람들에게 몸의 질병을 치료하는 곳과 마음의 질병을 치료하는 곳의 중간 쯤이 되어서 인지 보이지 않는 마음의 아픔을 갖고 몸의 문제로 치료하러 오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 중에서도 당연히 우울증은 이러한 환자 분들의 삶에 큰...

화: 건강한 공격성에서 분노 장애에 이르기까지

“Beef”라는 드라마가 미국 내에서 큰 주목을 받으면서 여러 평론과 감상들이 잇달았습니다. 그중 NY Times의 James Poniewozik의 비평이 무척 흥미롭습니다. 그는 극 중 Danny Cho(Steven Yeon)의 대사인 “I...

이민 가정이 겪는 심리적 위기와 기회, 그리고 Emotional Home

미국 땅에서 이민자로 살고, 사람의 마음을 치유하고 공부하고 나누면서, 새삼 이민자로 산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생각하게 됩니다. 이민을 심리적 측면에서 정의해본다면, 일차적이고 모성적인 환경, 가장 익숙한 것으로부터의 떠남에 이은 새로운...

애착과 심리치료 Attachment and Psychotherapy

“나는 애당초 부모로부터 따뜻함도 사랑도 받지 못하고 컸는데, 어떻게 안정감을 가질 수 있고 변할 수 있게 되는 거죠?” 심리치료를 시작한지 몇 년이 지난 어느 날 영민씨는 이렇게 물었습니다. 10대부터 깊은 우울과 분노, 공포와 불안장애를...

학교 내 총격 사건, 그리고 미국이 겪고 있는 폭력성과 공포

아이나 학생이란 단어는 총, 살인과 같은 단어와 같이 쓰일 일이 별로 없다. 적어도 한국에서는 분명히 그랬다. 그러나 미국에서의 삶에서는 아이가 총을 잡고 있는 광고 장면이 등장하고 학교에서는 아이들이 총격사건을 대비해서 모의 훈련을 받는 수준에...

ADD에 관한 생각

어린 시절부터 경쟁적이고 바쁜 삶에 익숙한 우리는 그 속도에 함께 발맞추지 못하는 이들을 보며 “부적응”, “낙오”와 같은 단어들을 곧잘 떠올립니다. 이런 사회의 분위기를 제일 잘 반영하는 의학용어를 고르라면 ADHD나 ADD가 되지 않을까...

병리적 자기애와 악 Pathological Narcissism & Evil

‘자기애Narcissism’하면 대개 사람들은 자신이 아닌 이기적인 누군가를 떠올립니다. 서점에 가 보아도 ‘어떻게 하면 나르시시스트로부터 상처 입지 않을 수 있는가’하는 류의 제목들을 많이 보게 됩니다. 그러나 본래 나르시시즘은 너와 나를...

아이들의 트라우마Trauma와 꿈의 이미지

며칠 전 마리Marie가 몇 달 만에 한의원에 치료받으러 왔습니다. 그녀는 40대 초반의 유럽계 여성으로 10대 후반의 딸, 10살 난 아들과 남편이 있습니다. 가정의 경제 상황이 어려워 치료를 받으러 올 때도 늘 무거운 마음으로 오는 것을 알고...

내향성과 은둔형 외톨이, 그리고 분열성 성격Schizoid Personality

미국인들 중에는 외향적이고 사교적이며 인간관계에서의 자신감 있고 당당한 인간상을 이상적으로 보는 태도가 만연한 편입니다. 그래서 이에 반하는 성격적 요소인 내향성, 조용함, 예민한 감수성 등에 대해서는 낮추어 평가하거나 심지어 병리적으로 바라보는...

정신증 Psychosis 과 자아의 팽창 Inflation of ego

정신장애는 크게 분류하면 정신증 psychosis, 인격장애 personality disorder, 신경증neurosis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정신증psychosis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정신증 psychosis이란 현실...

자폐증Autism에 대하여

“얼음처럼 차가운 엄마Refrigerator Mother” – 1940년대 중반에 미국의 정신과 의사였던 레오 캐너Leo Kanner박사와 헝가리의 심리치료사였던 브루토 베텔하임 Bruno Bettleheim은 아이의 자폐증은 정서적으로 냉담한...

강박충동장애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프로이트는 강박충동적인 사람들은 항문기의 이슈를 가지고 있다는 이야기를 한 바 있습니다. 청결, 완고, 정확함에 집착하는 경향성은 배변 훈련의 시나리오에서 두드러지는 내용이라는 것이었지요. 물론 현재의 정신분석가들은 프로이트의 말에 전적으로...

진실로 살아있다는 것과 참 자기 True Self

자신의 삶이 생생하고 진짜라는 느낌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요? 삶이 살만한 가치가 있다는 감각은 또한 어떻게 생겨나는 것일까요? 많은 이들이 외적으로는 잘 살고 있으나 내면에서는 왜 끝 간데 없이 공허하고 무가치하게 느껴지며 견디기 힘든지를...

공황장애(2): 사례 분석

“늘 하던 미팅이었는데 그날 아침에는 갑자기 도저히 갈 수가 없었어요. 아침에 미팅을 가려고 준비하는데 갑자기 겁이 덜컥 나면서 식은 땀이 나고 숨이 잘 쉬어지지 않았어요. 넥타이가 꽉 조였나 싶어서 풀었는데도 숨이 더 가빠졌어요.” 처음 저를...

감정의 전염성과 충동성

얼마 전 뉴욕 Presbyterian Hospital 응급실을 책임지던 의사가 자살로 생을 마감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지난 칼럼에서 현재의Pandemic으로 인해 기존 환자들의 우울이 심각해지고 자살을 시도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Pandemic 시기의 우울증과 불안장애

“Double Depression”: 이미 지속되어온 우울증에 견디기 힘든 외적 상황이 더해져서 환자의 우울의 양상이 격심해지는 것을 두고 임상에서 의사나 치료사들이 하는 말입니다. Pandemic이 아직도 강력히 전 세계를 장악하고 있는 이...

공황장애 및 강박장애 (1): 양상과 원인

COVID-19이 전세계를 침범하는 강력한 전염질환이 되면서 평소 불안을 많이 경험하지 않던 사람들조차 숨쉬고 만지는 모든 것들에 민감해지고 불안감을 갖게 되었습니다. 더군다나 평소 불안장애, 특히 공황장애 Panic Disorder나 강박장애...

bottom of page